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change speaker headset
- 오버워치
- overwatch
- 사전
- 모니터 암
- 게이밍 모니터
- 인풋렉 측정
- 모니터 개봉기
- 유틸리티
- nircmd
- 헤드폰 스피커 자동 전환
- CFG70
- 모니터 비교
- MSA14
- switch speaker headset
- AHK
- 매크로
- 삼성 게이밍 모니터
- Lingoes
- headset switch
- XL2430T
- Today
- Total
깐우의 세상 만들기
게이밍 모니터 삼성 CFG70과 벤큐 XL2430T와의 인풋렉 비교 본문
이번에는 두 모니터의 인풋렉 비교를 위해 아래의 사이트를 통해 비교 사진을 촬영하였다.
▽ 인풋렉 측정을 위한 초시계 사이트: http://tft.vanity.dk/inputlag.html
원래 인풋렉은 인풋렉이 0ms라 볼 수 있는 CRT 모니터와 비교를 해야 정확하게 나올 수 있다.
하지만 이 리뷰의 목적은 두 게이밍 모니터 비교이기에 두 모니터를 연결하여 비교 촬영을 했다.
이 웹사이트에서는 sec와 ms 단위의 시간을 화면에 출력한다.
이때 카메라로 촬영하여 각 모니터에서 값을 비교하면 되는데,
더 큰값(즉 더 흘러간 시간)을 가지는 모니터가 input lag이 더 작다고 보면 된다.
측정 환경
CPU : Intel I5 4670
GPU : GTX1060
CFG70 : DP 케이블, 144Hz 연결
XL2430T: Dual Link DVI, 144Hz 연결
▽ 인풋렉 측정 화면
두 모니터 다 인풋렉은 비슷할거라고 생각을 하고 사진을 30여장 촬영해 보았는데 의외로 가끔 차이가 있었다.
마음속으로는 (임직원이니) 삼성을 응원했지만 실 결과는 5장정도 벤큐가 1.5ms만큼 우세한 장면이 나왔다.
나머지 사진들은 ms 단위까지 똑같은 사진들이 많았다
가장 아래쪽 사진은 어디가 맞는건지 애매해서 올려놓은 사진이다.
왼쪽 삼성 CFG70, 오른쪽 벤큐 XL2430T (조리개 3.5 , 노출시간 1/2500초, ISO800) |
동일결과 27장
|
벤큐 우세 5장(평균 15ms)
|
애매한 사진 1장
|
Playware라는 사이트에서 입력 지연 시간 확인을 해보니 벤큐 2430T는 CRT모니터 대비 2.9ms 라고 한다.
(http://playwares.com/dpinputlag)
CFG70의 인풋렉은 자료가 없어서 인터넷으로 알아보니 6.2ms라고 하여 벤큐 XL 2430T와는 약 3ms의 차이가 난다.
(http://itespresso.net/220844437139)
그렇지만 촬영 결과는 대부분이 벤큐와 비슷한 인풋렉을 가진다고 알려주고있다(78%)(25장/32장)
미세한 1.5~3ms의 차이는 게이밍에 크게 지장이 없을거라고 생각한다.
이 CFG70에 대한 인풋렉에 대해서는 나보다 더 자세하게 측정한 블로거의 링크를 추가로 첨부하겠다.
'나 사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놀로지 BT 검색을 위한 토렌트킴 DLM 파일 (18.04.29) (0) | 2018.04.29 |
---|---|
아파트 동일 네트워크 만들기 + 기가비트 내부망 구성 (0) | 2018.04.18 |
게이밍 모니터 삼성 CFG70과 벤큐 XL2430T와의 비교 (0) | 2016.11.02 |
삼성 게이밍 모니터 CFG70 + Dell 모니터 암 결합 실패기 (0) | 2016.10.23 |
삼성 게이밍 모니터 CFG70 (24인치) 개봉기 (4) | 2016.10.09 |